1. 고혈압의 진단
동맥을 지나는 혈류의 관류혈압이 높아지는 현상으로 여러 합병증을 유발하며, 반대 증상으로는 저혈압이 있습니다. 혈압을 측정한 동맥의 압력을 기준으로 수축기혈압이 140 mmHg 이거나 이완기혈압이 (확장기혈압) 90 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 합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120 mmHg와 80 mmHg 미만일 때를 정상 혈압이라고 합니다.
혈압은 정상 혈압, 주의 혈압, 고혈압 전단계, 그리고 1기와 2기 고혈압으로 나누며, 그 기준은 아래 표 '2018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른 혈압의 분류’와 같습니다. 정상 혈압은 심장과 뇌의 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의 혈압을 말합니다. 안정을 취한 상태에서 측정한 혈압하여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 중 단 하나라도 아래 조건에 해당하면 고혈압에 해당됩니다.
혈압분류 | 수축기 혈압(mmHg) | 이완기 혈압(mmHg) | |
정상혈압 | <120 | <80 | |
주의혈압 | 120~129 | <80 | |
고혈압전단계 | 130~139 | 80~89 | |
고혈압 | 1기 | 140~159 | 90~99 |
2기 | ≥160 | ≥100 | |
수축기단독고혈압 | ≥140 | <90 |
고혈압의 진단, 치료, 예후 평가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정확한 혈압 측정입니다. 혈압은 측정 환경, 측정 부위, 임상 상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표준적인 방법으로 여러 번 측정해야 합니다. 가정에서 혈압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모든 환자는 가정혈압 측정법을 교육받아야 합니다. 20세 이상부터 주기적인 혈압 측정을 권고하며 특히 비만, 고혈압 가족력, 고혈압 전단계인 경우는 매년 진료실혈압을 측정해 고혈압 발생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2. 고혈압의 원인
고혈압은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환경에 의해서도 발생할수 있고, 흡연은 단기간 교감신경을 활성화해 혈압을 올리는 조건이 되기도 하지만, 지속적인 흡연이 만성적인 고혈압을 일으키는 지는 논란이 되고 있다.
유전, 흡연, 고지혈증, 당뇨병, 남성과 폐경이후 여성, 식사성 요인,약물요인, 노령화는 고혈압의 유발을 촉진하는 요인되며, 과음이 고혈압 발생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많이 있다. 반면에 신체 활동이 많으면 혈압 강하 효과가 있다고 한다. 저염식과 함께 채소와 생선을 더 많이 섭취하고 지방을 적게 섭취하는 식단도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심리적 스트레스와 통증도 혈압을 상승시키지만, 그효과는 대개 일시적이며 만성적으로 혈압을 상승시킨다는 근거는 없다.고혈압의 90% 이상은 본태성으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나머지 5~10%는 원인이 명확한 이차성 고혈압에 해당합니다. 고혈압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본태성 고혈압은 한 가지 원인에 의해 유발되지 않습니다.
여러 가지 요인이 모여서 고혈압을 일으키는데, 이 중에는 유전적인 요인(가족력)이 가장 흔하며, 그 외에 노화, 비만, 짜게 먹는 습관,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을 방치하면 뇌졸증, 심부전, 치매등과 같은 합병증의 위험성이 장기간에 걸쳐 증가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자각증상이 전혀 없기 때문에 과거에는 질병으로 보지 않았습니다.
본태성 고혈압은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약 95%가 해당합니다.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심박출량의 증가나 말초혈관저항의 증가에 의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차성 고혈압은 원인질환이 밝혀졌고 원인질활으로 인해 혈압이 상승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을 낮추는비약물적 예방활동의 중요성 (0) | 2023.02.02 |
---|---|
고혈압 예방을 위한 7가지 생활수칙 (0) | 2023.02.01 |
가정혈압의 중요성과 올바른 측정을 위해 기억할 사항 (0) | 2023.02.01 |
고혈압을 낮추기 위해 좋은 음식 10가지 (1) | 2023.01.31 |
환영합니다. (0) | 2023.01.24 |